Summary
Korean summary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층위와 도·농복합시를 포함한 도시화 정도, 인구 규모를 고려한 분류 기준을 사용하여 지역사회건강조사(KCHS)에 대한 새로운 분석틀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기초 지방자치단체 7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을 때, 연구 대상자 집단은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유의미하게 달랐으며 건강 상태, 건강 행태 및 의료 이용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는 지역보건의료계획 측면에서 지역사회 중심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의사 결정에 실질적으로 효과적인 접근 방법이 될 수 있는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새로운 유형을 제안한다.
Key Message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a new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with classification criteria for the sub-national governmental level, the degree of urbanization including an urban-rural multimodal category, and population size. In comparisons of groups categorized by 7 local government types, popul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nside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evident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healthcare utilization. This study suggests a new typology of local governments which could be a practically effective approach in decision-making for community-centered health projects in terms of community health planning.